공공PR(29)
-
[피알원 공공PR사례] 한국산업인력공단 우수숙련기술인 국민스타화 사업
우리나라는 10명 가운데 8~9명이 대학에 진학한다고 합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와 비교해서 대학 진학률이 두 배나 높다고 하네요. 그러나 국민 대다수가 반드시 대학에 갈 필요는 없겠죠. 맛있는 빵을 조리하고, 기계를 능숙하게 다루고, 농사를 잘 짓는 데 대졸자이냐 고졸자이냐는 그리 문제가 되지 않을 테니까요. 하지만 아직까지 실력보다 학력을 중시하는 사회 풍토는 쉽사리 변화하지 않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이에 한국산업인력공단은 성공한 우수숙련기술인을 발굴해 그들의 성공스토리를 꾸준히 알리고 진학을 앞둔 학생과 학부모를 비롯해 우리 국민의 인식변화를 불러올 캠페인을 제안하기로 했습니다. 바로 2012년부터 시작한 ‘우수숙련기술인 국민스타화 사업’인데요… 피알원 2본부 2팀은 2013년 ..
2014.01.24 -
2013 피알원 TOP NEWS
다사다난했던 2013년이 저물어 갑니다. 2013년, PR업계는 오랜 경기침체와 함께 기업의 각종 사건사고가 이어졌던 위기의 한 해였습니다. 그러나 피알원에는 2013년, 내외부적으로 많은 변화와 성과가 있었습니다. CI를 변경하고 새 홈페이지를 구축하는 한편, 포토그래퍼 인력 지원 및 인터랙티브팀 정비를 통해 조직체계를 견고히 하고 경쟁력을 강화했습니다. 또한 굵직한 대형 공공 캠페인 수주가 눈에 띄게 증가했고, SNS 인터랙티브 서비스 분야에서 좋은 호응을 얻었습니다. 그 결과 ‘홈즈 리포트’ 발표 세계 PR기업 92위를 기록하는 등 다수의 대외 수상의 성과도 거뒀습니다. 여러 글로벌 PR기업과의 협력을 도모하며 글로벌 역량도 키웠습니다. 어려운 대외 환경 속에 피알원은 꾸준한 성장과 도전을 계속해 ..
2013.12.27 -
피알원, 2013한국PR대상 공공문제PR 최우수상 수상
국내 PR 분야의 가장 권위 있는 시상식인 ‘2013한국PR대상’에서 피알원이 공공문제PR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습니다. 피알원 2본부3팀(박원경 팀장)은 시장경영진흥원의 ‘전통시장 활성화 홍보 용역’ 프로젝트를 2년 연속 맡아, 유력매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1기관 1시장 자매결연 캠페인’을 연중 진행하는 등 경제불황과 대형마트 확산으로 어려운 여건에 처한 전통시장 활력 회복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습니다. 더불어 잘 알려지지 않았던 시장경영진흥원의 기관 인지도를 높이는 데도 큰 성과를 보였습니다. 한편 올해로 21회째를 맞이한 ‘한국PR대상’은 한국PR협회가 한 해 동안 우수 PR활동사례와 PR실무자를 발굴, 시상함으로써 PR산업의 발전을 제고하고자 하는 국내 PR분야의 대표 상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2013.12.11 -
피알원 최초! AE로 입사해 임원으로 승진한 임내형 이사를 만나다!!
7월 1일 피알원 하반기 승진인사 발령에 깜짝 임원 승진 대상자가 있었지요… 바로 피알원에 사원급 AE로 입사한지 13년만에, 직장생활 경력 15년만에 임원으로 승진한 임내형 이사님입니다! 다른 업계에 비해 장기근속자가 많지 않고 스카우트 제안도 많은 PR업계의 특성을 고려해 본다면, 오랜 시간 피알원의 울타리 안에서 자기만의 영역을 확고히 쌓아오신 임내형 이사님의 승진소식은 많은 후배 PR AE들에게 좋은 본보기가 될 법한데요… 게다가 여성 AE가 월등히 많은 가운데서도 지금껏 여성 임원이 단 한 분이었던 점을 생각하면 여성 AE들에게 임내형 이사님의 승진 소식은 더욱 반갑지 않을 수가 없네요… 그래서 피알원 블로그 기자단이 신임 임내형 이사님을 만나보았습니다!^^ 피알원 블로그 기자단 이사 승진을 축..
2013.07.16 -
[피알원 PR성공사례] 수도권대기환경청 공공PR
정부기관이나 공공정책 등을 홍보하는 공공(公共) 홍보의 경우, 국가 혹은 사회 구성원 모두가 공공의 대상이 되는 까닭에, 홍보할 타깃을 정하는 것부터 쉽지 않다. 소비자 타깃이 명확한 일반 소비재나 서비스 부문의 홍보와 비교해 보면 그 타깃이 불분명해 보인다. 하지만 공공 홍보라 해도 해당 정책에 관련된 이해관계자는 분명히 존재한다. 모호해 보이는 타깃을 명확히 규정하고 이들에게 구체적인 정책 수혜가 돌아갈 수 있도록 전략을 수립해야 할 필요가 있다. 공공 부문 홍보는 알리고자 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도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당연히 공공이 알아야 할 메시지지만 개개인은 직접적인 연관성을 체감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혹은 누구나 알고 있지만 사회적으로 잘 지켜지지 않아 홍보를 해야 하는 메시지인 경우..
2012.12.10 -
공공 PR, 기업 PR과 무엇이 다른가?
국내 PR회사의 시작은 1988년 서울올림픽 무렵으로, 한국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글로벌 기업이 증가하면서 이들에 대한 홍보 서비스를 위한 외국계 홍보회사의 국내 상륙이 시작되면서부터라고 볼 수 있다. 이것이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 벤처 열풍에 힘입어 벤처기업의 홍보를 대행하는 홍보회사들의 탄생을 불러왔고, 점차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까지 다양한 기업군이 홍보회사의 클라이언트로 확대되었다. 반면 공공 PR이 지금과 같이 활성화된 시발점은 노무현 정부로부터라고 볼 수 있다. 그 당시 ‘정책이 홍보다’라고 표현한 노무현 대통령의 정책 철학에 의해 정책홍보가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자연스럽게 정책홍보에 민간 홍보전문가들이 투입되기 시작했고 지금과 같이 PR회사가 정책..
2012.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