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2B 기업의 유튜브 활용 전략 및 사례

2025. 4. 7. 14:14INSIGHT

유튜브(Youtube)는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4,665만 명), 가장 오랜 시간 동안 이용하는 (1,093억 분) 동영상 서비스 앱입니다. 사용자 비율은 94.0%이며, 사용 시간 점유율은 67.4%, 2위인 인스타그램과 비교할 때 사용자 수(2,644만 명)와 사용 시간(239억 분)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출처: 와이즈앱). 이러한 압도적인 수치를 바탕으로 많은 기업들이 유튜브를 통해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유튜브의 특징은 시청자들이 다양한 정보를 쉽게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매력적이고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브랜드와 기업의 가치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유튜브의 방대한 사용자층을 활용하여 기업은 다양한 타겟 고객에게 접근할 수 있으며, 댓글, 반응, 조회수 등의 실시간 피드백을 통해 소비자의 반응을 즉각적으로 확인하고 전략을 조정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됩니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B2B 기업에게 유튜브는 단순한 광고 수단을 넘어, 브랜드 인지도와 신뢰를 구축하는 중요한 채널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다른 채널보다 폭넓은 고객과의 소통이 가능하며, 동영상 콘텐츠의 특성상 전문적이고 기술적인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B2B 기업은 기술적이고 전문적인 내용을 다루기 때문에, 이를 효과적이고 쉽게 전달할 수 있는 전문적인 콘텐츠 기획이 필요합니다. 또한, 일반 소비자와 달리 특정 산업이나 분야에 국한된 고객을 대상으로 하므로, 정확한 타겟 맞춤형 콘텐츠 제작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B2B 기업은 어떻게 유튜브 채널을 운영해야 할까요? 물론 콘텐츠가 재미있고 매력적이어야 하지만, 무엇보다도 기업의 본질과 목표를 잊지 않고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튜브에서 성공적인 B2B 마케팅 전략은 콘텐츠의 질과 기업의 목표가 얼마나 잘 조화되는지에 달려 있습니다.

주요 B2B 기업의 채널들을 살펴보고 콘텐츠 목적을 크게 3가지로 구분하여 이를 잘 반영한 재미있는 사례를 정리해보았습니다.

 

1.  기업 인지도 / 기술력 제고

첫번째는 기업 또는 브랜드, 제품을 널리 알리고 인지도를 높이는 것 입니다. B2B 기업은 일반 소비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전문적인 기술이나 제품을 다루기 때문에, 단순한 브랜딩보다는 전문성과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콘텐츠 기획이 필요합니다. 전문적인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야 하며, 복잡한 기술 용어는 최소화하고 시청자가 쉽게 따라올 수 있도록 시청자 친화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디엘(DL)

   - 제목 : 건설 현장 다큐멘터리: 울릉도 위에 공항을 만드는 방법
   - 포맷 : 다큐멘터리 형식
   - 설명 : 울릉공항 건설 현장에서 적용되는 자사의 기술을 생생하게 담아 내며 자사 기술력 과시
   - 링크 : 건설 현장 다큐멘터리: 울릉도 위에 공항을 만드는 방법

 
   
삼성 SDS

   - 제목 : , 이젠(Gen) AI()작이야
   - 포맷 : 웹드라마
   - 설명 : 삼성SDS가 추구하는 생성형 AI 하이퍼오토메이션의 비전을 쉽고 재미있게 경험시키고자
     삼성 sds의 생성형 AI를 활용해 업무를 쉽고 빠르게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웹드라마로 그려냄.
   - 링크 : 요즘 신입의 AI적 사고 [자, 이젠 AI작이야] EP.01

 
   
한화 에어로 스페이스_ 스페이스 허브 TV (Space Hub TV)

   - 제목: [궤도X김상욱] 우주와 물리학 기막힌 콜라보
   - 포맷 : 토크쇼
   - 설명 : 항공엔진, 우주항공 기술 등 한화그룹의 우주 사업 통합 브랜드인 스페이스 허브
     우주에대한 대중의 관심을 높이고자 과학 유튜버 궤도와 김상욱 물리학 교수를 통해
     지적 호기심을 자극 하는 토크쇼 형태 콘텐츠
   - 링크 : [궤도X김상욱] 우주와 물리학 기막힌 콜라보

 

2.  인재 확보 및 채용 홍보 / 기업문화

두번째는 우수한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 기업의 문화와 채용 정보를 노출하는 것입니다. 내부 임직원의 인터뷰, 회사 생활을 보여주는 브이로그, 기업 문화와 가치를 소개하는 영상 등을 통해 생생하고 디테일한 정보를 전달합니다. 유명 인플루언서를 활용하여 더 넓은 audience에게 기업 문화를 알릴 수도 있습니다. 시청자들이 궁금해할 만한 정보, 즉 기업의 장점, 근무 환경, 성장 기회 등을 반영해야 하며, 진정성과 신뢰성을 잃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현대모비스

   - 제목: 모비스 잡터뷰
   - 포맷 : 인터뷰
   - 설명 : 다시 보는 나의 자기소개서!, 모비스인이 자신이 쓴 자소서를 보며 알려주는 입사 꿀팁
   - 링크 : 1년 전 자신의 면접 영상을 다시 본다면..? | 🙋‍♂️취뽀생 본인등판 EP.1 현대모비스

 
   
LS
그룹(LS TV)

   - 제목 : 용사들(용산에 사는 사람들)
   - 포맷 : 상황극 + 인터뷰
   - 설명: 이용주, 이호창이 용산 사옥 직원들을 인터뷰 하며 사내문화, 직무, 회사 생활 등을
     솔직하게 이야기하는 콘텐츠.
   - 링크 : 불꽃 카리스마🔥 이호창 본부장의 원데이 코칭 [용산에 사는 사람들 시즌2 EP.01]

 
   
현대제철

   - 제목 : [현대제철X빠더너스 문쌤] 축하합니다! 면접 전 이 강의를 들었다면 당신은 행운아🍀😎    
   - 포맷 : 강의 + 코미디
   - 설명 : 일타강사 포맷인 빠더너스 채널과 제휴하여, 현대제철의 기업 비전, 가치 문화 등을
     재미있게 전달하는 콘텐츠.
   - 링크 : [현대제철X빠더너스 문쌤] 축하합니다! 면접 전 이 강의를 들었다면 당신은 행운아🍀😎

 

3.  ESG (환경, 사회, 지배구조)

세번째는 기업의 지속 가능성 및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여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는 것입니다. ESG 관련 활동과 성과를 담은 영상을 제작하여, 기업의 노력을 고객과 공유합니다. 주로 친환경 제품 개발 과정이나 사회공헌 활동을 담은 영상을 통해 기업의 책임 있는 모습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포스코_포스코TV

   - 제목 : Green Tomorrow
   - 포맷 : 웹 무비
   - 설명 :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한 포스코그룹이 새롭게 선포한 전사적 슬로건인
     ‘그린 투모로우 위드 포스코(Green Tomorrow with POSCO)’에 맞춰 장항준 감독과
     3부작 포스코의 탄소중립 관련 행보를 담아낸 콘텐츠
   - 링크 : 미래에서 온 남자 (feat. 장항준) | Green Tomorrow EP.1| POSCO

 
   
현대제철

   - 제목 : 해달용명의 애착조개 찾기 대모험 🐚 | Ep.1
   - 포맷 : 웹 예능
   - 설명 : 현대제철의 '철이 그린(Green) 세상' 캠페인에 맞춰 개그맨 김용명을 주인공으로 한
     웹예능 제작 스토리텔링을 통해 현대제철이 수행하고 있는 자원재활용 활동에 대해
     이해의 폭을 넓히며, 구독자들에게 자연스럽게 현대제철의 환경·사회·지배구(ESG) 활동을 소개
   - 링크 : 해달이 된 김용명?! 형이 왜 거기서 나와…? | 해달용명의 애착조개 찾기 대모험 🐚 | Ep.1

 
   
삼성전자 반도체 뉴스룸

   - 제목 : 둥둥 오~~달수
   - 포맷 : 애니메이션 / 캐릭터
   - 설명 : 삼성전자 DS(반도체)부문의 ESG 캐릭터인 달수를 활용하여 반도체 사업장에서
     진행하고 있는 물 재이용, 탄소 저감, 저전력 반도체, 폐기물 제로화 등 다소 어려운
     ESG
주제를 애니메이션으로 쉽고 재미있게 풀어낸 콘텐츠
   - 링크 : 삼성 반도체에서 금이 나온다고? | 둥둥 오~~달수 EP.8 | 삼성 반도체

 

 

콘텐츠 제작 목적에 맞춰 다양한 포맷을 활용한 사례를 살펴 보았는데요. 언제나 그렇듯 콘텐츠에는 정답이 없습니다. B2B 기업의 본질과 목표를 잘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잘 표현하기 위한 콘텐츠 포맷을 잘 적용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위의 사례를 기반으로 보다 더 매력적인 콘텐츠가 나오길 기대합니다.

 

 

*이 포스팅은 윤동주 팀장이 기고하였습니다.